1. 운영체제(os)의 목적(성능 평가 요소) = 신사처응
- 처리 능력 Thorughput = 생산성, 일정 시간 동안 처리하는 일의 양
- 응답 시간 Turnaround Time = 결과 도출까지의 시간
- 신뢰도 Reliability = 문제를 얼마나 정확하게 처리하냐
- 사용 가능도 Availability = 시스템을 얼마나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가
2. 단축키
- windows + F1 = 웹 도움말
- F2 = 이름 바꾸기 (에프이이름바꾸기)
- F3 = 파일 탐색기에서 검색 (인삼을 찾아라)
- F4 = 파일 탐색기의 주소 표시줄 목록 표시 (사주)
- F5 = 새로 고침
- F6 = 창, 바탕화면의 요소들 순환 (육순)
- F10 = 메뉴 모음 활성화 (열매)
- Alt + F4 = 활성 항목 닫거나 종료
- Alt + Tab = 열려 있는 앱 간 전환 (Tab-이동하다) / 실행 중인 여러 프로그램에서 활성화 전환
- Alt + Esc = 항목을 열린 순서대로 선택
- Alt + Enter = 속성 창 표시 (속성 알고 싶어요 들어가서)
- Ctrl + Esc = 시작 화면 열기 (시이작 C E) = windows
- Ctrl + Shift + Esc = 작업 관리자 열기
- Ctrl + F = 파일, 폴더 검색 (Find)
- Shift + F10 = 바로 가기 메뉴 표시 (F10=메뉴)
- Shift + Delete = 휴지통X, 완전 바로 삭제
- windows = 시작 화면
- windows + Pause = 시스템 속성 대화 상자 표시→램, 윈도우 버전, 인증 여부 등
- windows + L = PC 잠금 or 계정 전환 (Lock)
- windows + D = 바탕 화면 표시, 숨김 (Display)
- windows + T = 작업 표시줄의 앱 순환
- windows + R = 실행 대화 상자 열기 (Run)
- windows + E = 파일 탐색기 열기
3. 휴지통
- 삭제 자료 임시 보관 장소, 복원 가능
- 각 드라이브마다 따로 설정 가능 (각 방마다 크기가 다른 휴지통 각각 놓을 수 有)
- 복원 시, 원래 위치에 자동으로 복원
- 휴지통 내, 데이터 실행 작업 불가능 → 복원 후 가능
- 완전히 삭제되는 경우
-플로피 디스크, DOS모드, USB메모리,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경우
-[휴지통 속성] → [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] 선택 시
-같은 이름의 항목을 덮어 쓰기 한 경우
-바로 가기 메뉴에서 Shift 누르고 삭제 시
-휴지통 비우기 한 경우
-Shift + Delete
기출
- 하드 디스크가 분할되어 있거나 컴퓨터에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각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지정 가능
- [명령 프롬프트] 창에서 삭제한 파일은 영구히 삭제 = DOS모드
- 휴지통의 최대 크기는 [휴지통 속성] 창에서 변경 가능 / 휴지통 이름 바꾸기 가능
4. 설정
1. 사용자 지정
- 관리자 계정
-소프트웨어, 하드웨어 설치 가능
-모든 파일에 액세스 가능, 다른 사용자 계정 변경 가능
-제어 권한 多
- 표준 계정
-일부 소프트웨어, 하드웨어 설치와 제거 불가, 컴퓨터 작동에 필요한 파일 삭제 불가
-다른 사용자, 컴퓨터 보안에 영향을 주는 설정 변경 불가
-프로그램 사용 가능, 사용자 계정에 영향 주는 설정 변경 가능
2. 시스템 정보
- [설정]-[시스템]-[정보] = windows + X + Y
cf) 시작 단추에 우클릭 = 빠른 링크 메뉴 열기 = windows + X
cf) [설정] = windows + i
- 바이러스 방지, 방화벽, 장치 사양, windows 사양 등의 정보
기출
- 표준 사용자 계정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설치 및 보안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없다.
- windows 시스템 정보에서 윈도우 버전과 CPU 종류, RAM 크기 변경할 수 없다.
5. 네트워크 명령어
- Windows + R + 창에 CMD 입력
- 대소문자 상관X
- ipconfig = 사용자 자신 IP 주소 확인 명령어
- ping = 네트워크 현상태, 다른 컴퓨터의 네트워크 접속 여부 확인 (인터넷이 핑핑 잘 돌아가는지/패킷=데이터 전송 시 쪼개는 단위)
- tracert =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의 경로(라우팅 경로) 추적 시 사용
기출
- ping = 지정된 호스트에 대해 네트워크층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 확인하는 서비스
- tracert = IP주소,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,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 확인 가능
- tracert =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,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망이 문제인지 알 수 있다.
- tracert =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, 어느 구간이 정체인지 알 수 있다. -추적
- arp, netstat =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6. 문자 표현 코드
- BCD 코드 (2진화 10진) = 2진수를 10진수로 바꾸는 코드 "6"
-Zone = 2비트 & Digit = 4비트 (합 6비트)
-6비트로 2^6=64가지의 문자 표현
-대소문자 구별 X
- ASCII 코드 (미국 표준) = 아스키 칠칠맞은데 통신은 잘해 "7"
-Zone = 3비트 & Digit = 4비트 (합 7비트)
-7비트로 128가지의 문자 표현
-일반 PC용 컴퓨터 및 데이터 통신용 코드
-대소문자 구별 O
-확장 ASCII 코드 = 8비트로 256가지의 문자 표현
- EBCDIC 코드 (확장 2진화 10진) = 확장 BCD 코드 "8"
-Zone = 4비트 & Digit = 4비트
-8비트로 256가지 문자 표현
-대형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범용 코드
- 유니코드
-2바이트 코드(1바이트=8비트 / 2바이트 = 16비트)
-세계 각 나라의 언어 표현 가능, 국제 표준 코드
-한글 조합, 완성, 옛 글자 모두 표현 가능, 11,172 자 표현 가능
-16비트로 2^16=65,536 표현 가능
- 해밍 코드 (해교-교정)
-최대 2비트까지 에러 검출
-1비트의 에러 교정 가능
7. 제어 장치
- 프로그램 카운터, 프로그램 계수기 (PC : Program Counter) =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,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
- 명령 해독기 (Instruction Decoder) = (명령 레지스터에 있는)명령어를 해석하여 부호기로 전달하는 회로
- 번지 해독기 (Address Decoder) = 명령 레지스터로부터 보내온 번지, 주소를 해석하는 회로
- 부호기 (Encoder) = 부호로 만들어준다.명령 해독기에서 전송된 명령어를 제어에 필요한 신호(부호)로 변환하는 회로
- 명령 레지스터 (IR : Instruction Register) =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
- 번지 레지스터 (MAR : Memory Address Register) = 주소 기억 레지스터
- 기억 레지스터 (MBR : Memory Buffer내용 Register) = 내용, 자료 기억 레지스터
8. 연산 장치
- 가산기 (Adder) = 2진수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
- 보수기 (Complementer) = 뺄셈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된 값을 보수로 변환하는 회로
- 누산기 (ACCumulator) = 중간 연산 결과 일시 기억 레지스터
- 데이터 레지스터 = 연산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
- 프로그램 상태 워드 (PWS) = 명령어 실행 중에 발생하는 CPU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레지스터
기출
- 연산장치가 수행하는 연산 = 산술, 논리, 관계, 이동 연산 등
9. 주기억 장치 (내부 기억 장치)
1.ROM (Read Only Memory)
-한 번 기록한 정보에 대해 읽기만 허용된 비휘발성 기억 장치
-수정이 필요 없는 기본 입출력 프로그램, 글꼴 등의 펌웨어를 저장
2.RAM (Random Access Memory)
-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, 자유롭게 읽고 쓰기 가능한 주기억 장치
-전원 공급X → 기억된 내용이 사라지는 휘발성(소멸성) 메모리
- SRAM (Static Ram) = 정적 램, 전원 공급되는 한 내용 유지 / 가격 높, 용량 적, 속도 높아 캐시 메모리 등에 이용 (캐시 메모리=주기억-중앙처리 사이의 은닉 장소) cf) Speed-빠르다
- DRAM (Dynamic Ram) = 동적 램,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하 방전되어 재충전 시간 필요 / 구조 단순, 가격 저렴, 집적도 높음, PC 메모리로 이용 cf) D-배가 나와서 자꾸 먹어줘야 함
기출
- ROM에 BIOS, 기본 글꼴, POST 시스템 등이 저장되어 있다.
10. 기타 기억 장치
- 캐시 메모리 = 주중에 캐러가자-주기억 중앙처리 사이에
-휘발성 메모리, 속도가 빠른CPU와 속도가 느린 주기억 장치 사이에 있는 고속의 버퍼(완충) 메모리
-SRAM 사용되며 주기억 장치보다 소용량으로 구성
-자주 참조되는 데이터,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
-컴퓨터의 처리 속도 향상시켜 메모리 접근 시간 감소
- 버퍼 메모리 = 완충 작용, 중간
-읽거나 기록한 데이터 일시 기억 메모리
-두 개 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두 개의 장치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, 생기는 속도 차이 해결하기 위해 중간 데이터 임시 저장 장소
- 연관 메모리 = CAM, 내용 연관
-주소가 아닌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 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어오는 기억 장치
-캐시 메모리에서 특정 내용을 찾는 방식 중 매핑 방식에 주로 사용
-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찾는데 저장된 내용에 의하여 접근함
-병렬 탐색 가능
- 가상 메모리 = 용량, 기억 공간 확대가 주목적 (처리 속도X)
-보조 기억 장치(하드디스크HDD, SSD) 의 일부를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사용 기법, 기억 장소를 주기억 장치의 용량으로 제한X, 보조 기억 장치까지 확대하여 사용
-주기억 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실행할 경우 유용
-가상 기억 장치로는 임의 접근 가능한 자기 디스크(HDD, SSD)를 많이 사용한다.
기출
-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로 주로 디지털 카메라, MP3, 개인용 정보 단말기, USB드라이브 등 휴대형 기기에서 대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.
-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방식을 EIDE, SATA, SCSI 방식 등이 있다.
11. USB 포트(universal serial bus)-범용 직렬 버스 장치
- 허브(중심에서 뻗어나가는 것)를 사용하면 최대 127개 주변기기 연결 가능
- 직렬, 병렬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
- 핫 플러그 인 가능 = 전기가 들어와 있는 뜨거운 상태에서 꽂을 수 있다.
- 플러그 앤 플레이 가능
- 1.0 = 1.5 / 1.1 = 12 / 2.0 = 480 / 3.0 = 5G / 3.1 = 10G
- 2.0 포트 색깔 = 검정, 흰색 / 3.0 = 파란색
12. 저작권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구분
- 상용 소프트웨어 Commercial Software = 정식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프로그램, 모든 기능 사용 가능
- 공개 소프트웨어 Freeware = 개발자가 무료로 사용 허용한
- 셰어 웨어 Shareware = 정식 프로그램의 구매 유도를 위한 기능, 사용 기간에 제한이 있는 무료 배포 프로그램
- 에드웨어 Adware = 광고가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이를 보는 조건으로 무료로 사용
- 데모 버전 = 정식 프로그램의 기능을 홍보하기 위해 사용 기간, 기능에 제한을 두고 배포
- 트라이얼 버전 = 상용 소프트웨어의 체험판
- 알파 버전 = 베타 테스트 전 회사 내 테스트 목적으로 제작하는 프로그램
- 베타 버전 = 정식 프로그램 발표 전 일반인에게 테스트 목적으로 공개
- 패치 프로그램 = 이미 제작하여 배포된 프로그램의 오류 수정, 성능 향상을 위하여 프로그램 일부를 변경해 주는 프로그램 = 업데이트
- 번들 프로그램 = 특정한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 구매 시 끼워주는 소프트웨어, 덤
13. 웹 프로그래밍 언어
- 자바
-특정 컴퓨터 구조와 무관한 가상 바이트 머신 코드를 사용—> 플랫폼이 독립적인 언어이다.
-기종, 운영체제와 무관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도구로 각광 (원시 코드를 고쳐 쓰거나 재컴파일할 필요X)
-멀티스레드 지원, 각각의 스레드는 독립적으로 일처리가 가능하다. = 네트워크 환경에서 분산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.
-바이트 머신 코드를 생성한다.
-객체 지향 언어로 추상화(보안), 상속화, 다형성의 특징을 가진다.
- ASP Active Server Page
-windows 환경에서 동적인 웹 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는 스크립트(쓰다, 적다) 언어
-HTML 문서에 명령어를 삽입하여 사용, 자바스크립트와 달리 서버측에서 실행된다.
- PHP
-(웹 서버에서 작동하는) 스크립트 언어
-UNIX, Linux, Windows 운영체제 모두에서 다 사용 가능
- JSP Java Server Page
-ASP, PHP와 동일하게 웹 서버에서 작동하는 스크립트 언어
+인터프리터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특히 인공지능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. = LISP
14. IPv6 주소
-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고유한 주소
- IPv6주소체계 = 128비트를 16비트씩 8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콜론 (:) 으로 구분
- IPv4주소체계 = 32비트를 8비트씩 4부분으로 나누어 점으로 구분
- IPv6는 IPv4와 호환됨
- 각 부분은 4자리의 16진수로 표기
- 각 블록에서 선행되는 0은 생략 가능
- 연속된 0의 블록은 :: 으로 한 번만 생략 가능
- IPv6 주소 개수 43^4개
- 주소 체계 = 유니캐스트, 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 —>이런 형태의 유형으로 할당하기에 할당된 주소의 낭비 줄이고 간단히 주소 결정 가능
- 인증 서비스, 비밀성 서비스, 데이터 무결성 서비스 제공하여 보안 문제 해결
- IPv4에 비해 등급별, 서비스별로 패킷(데이터 나누는 단위) 구분할 수 있어 품질보장이 용이하다.
15. FTP (File Transfer Protocol) 파일 전송 규약
- 파일 전송, 받을 때 사용하는 서비스
- 바이너리 모드 = 그림, 동영상, 실행 파일 전송에 이용
- 아스키 모드= 아스키 코드의 텍스트 파일 전송에 이용 / 아스키=7비트,통신에 사용
- FTP 서버 = 파일 업로드,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하는 컴퓨터
- FTP 클라이언트 = 파일을 제공 받는 컴퓨터
- Anonymous FTP 서버 = 계정 없이 FTP 사용할 수 있는 서버(ID=Anonymous, PW=자신의 email)
기출
- FTP 서버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FTP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다운 필요. = FTP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은 접속 후에 서버에서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.
- FTP 서버에 파일 전송, 수신, 삭제, 이름 바꾸기 작업 가능
- FTP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파일을 받고자 할 때 서버의 주소, 파일 전송 방식, 전송 받을 파일의 이름이 필요하다.
- 한 개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는 get 명령어를, 여러 개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는 mget 명령어를, 하나의 파일을 Remote 시스템에 올릴 때는 put 명령어를 사용한다.
16. 그래픽 데이터의 표현 방식
- 비트맵 (Bitmap, Raster)
-고해상도 표현에 적합, 파일 크기 big, 이미지 확대하면 계단 현상(엘리어스) ↔ 안티 엘리어스, 엘리어싱
-photoshop, paint shop pro 가 대표적 소프트웨어
-이미지를 점(픽셀, 화소)의 집합으로 표현
-형식 = BMP, JPG, PCX, TIF, PNG, GIF, JPEG
-다양한 색상 이용
- 벡터 (Vector)
-계단 현상 X, 고해상도에 부적절
-형식 = WMF, AI, CDR
-illustrator, coreldraw, 플래시 가 대표적 소프트웨어
-이미지를 직선, 곡선 이용하여 표현
기출
- 비트맵 = 래스터 방식이라고도 하며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므로 사실 같은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..-> 그래서 이미지 저장 시에 많은 용량을 차지하고 속도가 느리다.
- 비트맵의 파일형식 GIF는 무손실 압축 방식만, JPG는 손실/무손실 압축 방식을 둘 다 쓰는 경우
- 벡터의 WMF = Windows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복원한 데이터가 압축 전의 데이터와 완전히 일치하는 무손실 압축을 사용한다.
17. 그래픽 관련 용어
- 렌더링 = 사실감 있게 만들다, 컴퓨터 그래픽에서 3차원 질감(그림자, 색상, 농도)를 주어 사실감
- 디더링 = 색상 조합, 표현할 수 없는 색상이 있는 경우, 다른 색상 섞어 비슷한 색상을 내는 효과
- 인터레이싱 = 화면에 이미 표시할 때, 천천히 표시되며 선명해지는 효과
- 모핑 = 변하다, 사물의 형상을 다른 모습으로 서서히 변화시키는 기법, 영화 특수효과 사용 多
- 모델링 = 물체의 형상을 컴퓨터에서 3차원 그래픽으로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정하는
- 안티 앨리어싱 = (3D 텍스처에서 몇 개의 샘플 채취, 사물의 색상 변경하여)계단 현상X 곧게 이어지는 화질을 형성
- 로토스코핑 = 사람을 찍고 프레임 나누어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
모델링→랜더링 = 그린 후 3차원 그래픽으로
18. 네트워크 접속 장비
- 허브 = 네트워크에서 연결된 각 회선이 모이는 집선 장치, 회선통합관리
- 라우터 = 장거리 경주마,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경로를 찾아 통신망에 연결하는 장치, 네트워크 계층
- 브리지 = 독립된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(LAN)을 연결하는 접속 장치, 데이터 링크 계층
- 리피터 = 재생, 장거리 전송을 위해 신호 새로 재생, 출력 전압을 높여 전송, 물리 계층
- 게이트웨이 = 관문,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관문의 기능, 서로 다른 프로토콜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장치
19. 방화벽 Firewall (설정=윈도우키+i)
- 인터넷의 보안 문제로부터 특정 네트워크를 격리시키는 데 사용
- 내부망, 외부망 사이 상호접속, 데이터 전송을 안전하게 통제하기 위한 보안 기능
- 외부의 불법 침입으로부터 내부 정보 자산 보호
- 외부로부터 유해 정보 유입 차단하기 위한 정책과 이를 지원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총칭
-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패킷을 체크하여 인증된 패킷만 통과시키는 구조
- 외부 침입 막기 可, 내부 해킹 不可
- 외부 침입자 역추적하여 흔적 찾기 가능
20. 암호화 기법
- 비밀키 암호화(대칭키, 단일키) 비대단 빠르다, 비대해진다
-암호화, 복호화 속도가 빠름
-사용자 多 → 관리할 키 개수 多
-안전성 = 키 길이, 키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 받는다
-DES = 대표적인 방식
-단일키이므로 알고리즘(절차) 간단, 파일 크기 小
-송신자, 수신자가 서로 동일한(대칭한) 하나의(단일의) 비밀키를 가진다.
- 공개키 암호화(비대칭키, 이중키)
-암호화, 복호화 속도 느림
-이중키이므로 알고리즘 복잡, 파일 크기 大
-RSA = 대표적인 방식
-암호화가 공개키이므로 키의 분배가 쉽다, 관리할 키의 개수가 줄어듦
-암호화=공개키 / 복호화=비밀키 암공복비, 우편함
-암호화, 복호화키가 서로 다른(비대칭) 두 개(이중키)의 키를 가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