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interactive shell mode = 짧은 코드, 코드 치면 바로 수행(핑퐁), print 기능이 기본으로 有 - file > new file > editer mode = 긴 코드, 해당 모드에서 코드를 작성 > 저장 > run > interactive shell 에서 결과 확인 print( ) = 괄호 내부의 내용을 바로 출력, 문자형은 ''사용 input( ) = 괄호 내부의 내용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음 > 입력받은 값을 다시 출력 (interactive shell 의 기본 기능), 괄호 안의 값을 일종의 print 로 만들어준다고 생각함. Variable = 값을 할당, 저장한다. [변수 이름 = 할당값] ex) age =..